편집성 인격장애는 타인에 대한 불신과 의심이 만연하는 성격장애의 한 유형입니다. 그것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는 경우에도 피해망상이 성격으로 나타나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상황에는 계획적인 요구나 악의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타인을 극도로 경계하기 때문에 인간관계를 구축하는데 심한 어려움을 겪습니다. 사회적인 활동에서 멀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족이나 친구와의 관계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편집성 인격장애 증상
충분한 근거나 타당한 이유 없이 타인이 자신을 이용하거나, 피해를 입히고 속인다고 생각합니다. 병적으로 타인을 의심하기 때문에 대인관계가 어렵고, 자신의 정보가 나쁘게 이용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경계하며 비밀스럽게 행동합니다. 따라서 가까운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모욕이나 무시를 당하거나 상해를 입은 경우 용서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원한을 품습니다. 위협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에게는 쉽게 화를 내고 적대적으로 대하기도 합니다. 의부증이나 의처증이 생기기 쉽고 반복적으로 의심하기 때문에 가정생활에 위기가 생길 수 있으며, 증상이 심각한 경우 망상장애나 조현병 등 정신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심혈관계 계통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편집성 인격장애 원인
명확한 원인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생물학적 요인과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내면서 부모나 주변 사람들에게 불합리한 처우를 받았을 때 분노를 속으로 삭이거나 트라우마, 방치, 학대를 받으며 성장하는 데서 비롯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편집성 인격장애 치료
편집성 인격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특유의 불신과 의심 때문에 의사도 신뢰하지 못하고 불순한 의도를 가졌다고 간주하여 스스로 치료를 받으려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인지 행동과 관련된 심리 치료는 부정적인 생각을 줄이고 타인에 대해 믿음을 가지며 긍정적이고 현실적인 사고방식을 할 수 있게 합니다. 증상을 관리하기 위해 항정신병 약물이나 항우울제 약물과 같은 약물이 처방될 수 있지만 약물 치료는 커다란 불신을 제공하는 빌미가 될 수 있습니다. 타인에 대한 신뢰감 결여가 문제로 작용하기 때문에 가족이나 친구들의 일관성 있고 중립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다만 지나치게 잘해주거나 관심을 나타내면 그 동기를 의심받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코패스 뜻 특징 살인 원인 치료 (0) | 2023.05.09 |
---|---|
해리성정체장애 다중인격장애 뜻 증상 원인 치료 (1) | 2023.05.09 |
자기애적 인격장애 (나르시시스트 인격장애) 뜻 증상 원인 치료 (0) | 2023.05.09 |
번아웃증후군 뜻 증상 원인 극복하는 방법 (0) | 2023.05.09 |
반사회성 인격장애 증상 특징 원인 진단기준 치료 (0) | 2023.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