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

자기애적 인격장애 (나르시시스트 인격장애) 뜻 증상 원인 치료

by 이또먹 2023. 5. 9.

자기애적 인격장애는 나르시시스트 인격장애라고도 하며, 자기중심적인 사고와 태도로 자신이 위대하고 특별한 인물이라고 생각하는 성격 장애입니다. 강한 자신감과 자부심으로 자신의 위상과 업적을 지나치게 중요하게 생각하고, 타인의 의견은 경시하거나 부정적은 반응을 보입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자신의 매력이나 재능을 너무 강조하며,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칭찬하거나 충성을 보이지 않으면 상처받기 쉽습니다. 자기중심적인 성격으로 인간관계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자기애적 인격장애(나르시시스트) 증상

자기애적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이 우수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타인의 의견을 가볍게 여기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입니다. 자신감과 자부심의 과잉으로 자신의 능력과 위상을 지나치게 자신합니다. 이러한 자부심으로 자신의 능력과 성과를 과장하는 경우 있으며, 자신을 비난하는 것에 매우 민감하고 비난에 대해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합니다. 자신의 욕구와 만족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다른 사람들의 욕구나 필요는 무사하는 자기중심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자신의 취향과 성향이 뚜렷하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이나 변화에 쉽게 적응하지 않습니다. 공감 능력이 떨어져 다른 사람들의 감정이나 상황에 대해 냉정하게 대처합니다. 자신을 특별하게 생각하며, 대인관계에서도 자기중심적인 태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기애적 인격장애(나르시시스트)  원인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어린 시절 경험과 부모나 가족과의 관계, 유전적 요인, 사회적 요인에서 비롯됩니다. 어린 시절에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받지 못하고 감정이나 필요를 무시 당하거나, 심한 비판이나 혹평을 받았을 때 나르시시스트 인격장애를 가지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모나 가족이 자신에게 지나치게 관심을 기울이거나, 성취를 너무 강조할 때 발생하기도 합니다. 유전적 요인으로 가족이나 가까운 친척들 중에 자기애적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이 있을 경우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경제적 성취나 사회적 지위에 대한 강한 욕구, 과도한 자신감, 경쟁심 등 사회적 요인이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신의 신용, 명예, 자신감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강한 욕구를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원인들이 결합하여 자기애적 인격장애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맣지만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자기애적 인격장애(나르시시스트) 치료

나르시시스트 인격장애의 치료는 매우 어려운 과정이지만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나르시시스트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특징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신건강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스스로 인식하고, 대인 관계에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기애적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을 대할 때 어떤 태도와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모릅니다. 따라서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분석하고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대인관계 훈련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고, 그들의 감정과 요구를 이해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가족치료는 자기애적 인적장애를 가진 사람과 가족이 함께 상담하는 방법입니다. 가족의 역할과 관계를 분석하고, 대인관계에서 더 나은 태도와 행동을 취하도록 가족들이 도와줄 수 있습니다. 치료를 하기 위해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성공할 경우 자신의 인격을 발전시키고, 더 나은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댓글